-
[일반의약품] 국소항생제 후시딘연고 효능효과, 성분, 사용법, 주의사항카테고리 없음 2020. 5. 6. 00:03
찰과상 등의 상처가 생기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연고제가 있다면 바로 동화약품의 후시딘연고일 것 같습니다. 후시딘연고는 일반의약품으로 우리가 쉽게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국소항생제연고 중의 하나입니다. 후시딘연고의 효능성분은 바로 퓨시드산나트륨으로 함유량은 g당 20mg 함유되어 있습니다. 후시딘연고의 주성분인 퓨시드산나트륨 외 제형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첨가제로는 백섹바셀린, 세탄올, 유동파라핀, 정제라놀린이 있습니다.
후시딘연고의 효능효과는 포도구균, 연쇄구균, 코리네박테륨, 클로스트리듐의 유효균종에 효과적이며, 농가진이나 감염성습진양피부염, 심상성여드름 등의 농피증과 모낭염, 종기 및 종기증 그리고 화농성한선염, 농가진성습진 그리고 화상, 외상, 봉합창, 식피창에 의한 2차 감염에도 효과적입니다.
후시딘연고의 용법과 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. 연고제이기 때문에 환부를 깨끗이 하고 1일 1~2회 정도 적당량 환부에 직접 바르거나 멸균거즈에 넓게 펴발라 환부에 부착할 수 있습니다. 후시딘연고를 그냥 상처 연고쯤으로 가볍게 생각하는데, 후시딘연고도 항생제연고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기보다는 보통 1주일 정도 바르고 차도가 없다면 피부과 등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.
후시딘 연고는 항생제연고이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상처, 환부에 발라야 합니다. 다음의 경우 바르지 않도록 합니다. 먼저 효능성분인 푸시딘산이나 그 염에 예민반응 등 부작용 경험이 있다면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. 신장질환으로 야기된 감염을 제외한 비뇨기계 포도구균 감염일 경우에도 사용하지 않으며 간기능장애가 있다면 신중하게 사용을 정합니다.
부작용은 드물게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. 구역, 구토, 설사, 식욕부진, 위통 복통이 소화기계 소화불량이 있을 수 있으며 매우 드물지만 과립구 감소, 혈소판감소, 골수억제 등도 있을 수 있습니다. 또한 과민반응으로 피부발진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이상반응이 나타나면 투약을 중단하고 의사, 약사 등 전문가의 진료나 상담을 받으세요.
이 글에서 여러번 기술한 바와 같이 후시딘은 항생제 연고이기 때문에 내성균 등의 발현과 같은 내성 방지를 위해 감수성을 확인하고 (자극이나 예민 등 이상반응을 체크하라는 의미입니다) 치료상 필요한 최소 기간만 투여하도록 합니다.
후시딘 연고의 주성분에 대한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연고에 대해서는 임부의 경우라면 이 성분은 태반관문을 통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임부 또는 임신가능성이 있을 경우라면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그러니깐 정말 꼭 불가피하게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만 투여하도록 합니다. 수유할 경우에는 이 성분에 대한 안전성은 아직 확립된 자료가 없기도 하고, 모유 이행을 하기 때문에 수유 중이라면 후시딘 연고제 등 퓨시딘산나트륨 성분이 들어간 연고제는 사용하지 않지 않거나 꼭 투약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수유하지 않도록 합니다. 그리고 간 기능이 미숙한 미숙아, 신생아에게 장기간 또는 넓은 부위의 투약시에 간 기능 장애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. 그리고 안과용은 아니기 때문에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후시단 연고 복약정보를 정리하자면, 바르기 전에 손을 씻고 환부도 깨끗히 한 다음에 바르며 내성균이 생기지 않도록 처방된 용법이나 정해진 기간 (1주일)을 지켜 사용하시고요. 혹시라도 사용 중 발진, 발적, 가려움 등의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의 진료를 받으세요. 투여해주는 손을 깨끗히 씻고 연고제가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퓨시드산나트륨이 함유된 후시딘연고(동화약품)과 동일성분의 의약품은 다음과 같습니다. (첨가제는 다를 수 있습니다) 네오시덤연고(태극제약), 루시바연고(알파제약), 바르딘연고(씨엠지제약), 바린연고(동광제약), 바이잔연고(서울제약), 발라드연고(고려제약), 삼익퓨시드산나트륨연고(삼익제약), 세사래연고(신신제약), 스케어연고(초당약품공업), 오스틴퓨시드산나트륨연고(오스틴제약), 이너솔연고(일동제약), 청계푸시딘산나트륨연고(에이프로젠제약), 콜시딘연고(한국콜마), 큐라딘연고(동성제약), 클리딘에프연고(부광약품), 파라손연고(에스케이케미칼), 푸딘연고(동구바이오제약), 푸시덤연고(우리들제약), 후디신연고(영풍제약), 후디킨연고(삼진제약), 후라신연고(명인제약), 후리겐연고(콜마파마), 후발라연고(메디포럼제약), 후스덴연고(한국코러스), 후스킨연고(테라젠이텍스), 후스탄연고(이니스트바이오제약), 후시다나연고(뉴젠팜), 후시더모연고(미래제약), 후시덴연고(퍼슨), 후시메드연고(녹십자)가 있습니다.댓글